시작하기 앞서 간단하게
Jekins : 오픈 소스 자동화 서버로, 지속적 통합(CI) 및 지속적 배포(CD) 기능을 제공
GitLab : 코드 저장소, 이슈 트래킹, CI/CD 기능 등을 제공하는 DevOps 플랫폼
GitLab에도 CI/CD 기능을 제공하는데 Jenkins를 사용하는 이유!
- 유연성과 확장성,그리고 수 많은 플러그인을 제공하여 다양한 도구 및 기술 스택과 쉽게 통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 이미 GitLab만을 사용하고 있다면 GitLab에서 제공하는 CI/CD를 사용하는 게 좋다 ㅎㅎ
자 이제 구축을 시작해보자!
Jenkins
1. Jenkins 파일 다운
https://www.jenkins.io/download/
Download and deploy
Jenkins –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 test, and deploy their software
www.jenkins.io
2. Jenkins 설치
local에서만 할 것이기 때문에 난 이렇게 진행!
8080은 사용 중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난 8089로 진행! 하고 TestPort를 눌러 확인까지!
JDK는 17로 진행! 11은 2024년도까지 지원한다고 함
쭉쭉 눌러서
3. Jenkins 설치
localhost:포트번호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빨간색으로 칠해진 경로로 들어가서 initialAdminPassword 파일을 열어 해당 password를 입력한다
이 이후에 계정을 만들면 기본 세팅은 끝!
다음 과정에서 GitLab을 제대로 연결해보자
'형상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깃허브 CI/CD 구축하기 (0) | 2025.02.11 |
---|---|
[SourceTree] remote: error: GH001: Large files detected. You may want to try Git Large File Storage - https://git-lfs.github.com. (0) | 2024.12.29 |
Gitlab과 Jenkins로 CI/CD 구축 (3) (0) | 2024.08.06 |
Gitlab과 Jenkins로 CI/CD 구축 (2) (0) | 2024.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