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처에 있는 버전을 이용하는 법이 아닌 깃허브를 통해 언리얼 엔진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는데 그것을 정리해보겠다.
!! 준비 사항 !! 에픽 게임즈 로그인 -> 계정 -> 앱 및 계정 -> 깃허브 연동을 진행해야 한다.
1. 에픽 게임즈 언리얼 엔진 접속 (EpicGames에 깃허브를 연동한 계정만 접속이 가능)
: https://github.com/EpicGames/UnrealEngine
2. 나의 깃에 Unreal Engine Fork하기
: 특정 요구 사항에 맞게 커스텀하거나 독립적으로 작업하려는 경우 또 자신만의 환경에서 안정적인 작업을 위해 Fork를 진행해 볼 것이다.
- 우측 상단 포크 클릭
- 그대로 Create fork 클릭 (어떤 버전을 선택하고 Fork를 해도 본인의 깃허브 리포지토리에는 release 브랜치만 포함)
- 나의 깃에서 fork된 것을 로컬에 클론한다. (SourceTree를 통해 클론을 생성)
3. 릴리즈만 포크 되었기 때문에 사용하고자 하는 버전을 가져오기
- 클론이 완료되었다면 SourceTree 내 터미널 클릭
- 터미널에 명령어 입력
#원본 리포지터리(EpicGames) 추가 (upstream 이름으로 등록)
git remote add upstream https://github.com/EpicGames/UnrealEngine.git
# 원본에서 모든 브랜치 정보 가져오기
git fetch upstream
# 가져온 원본 브렌치 목록 확인
git branch -r
# 5.4 브랜치를 로컬로 생성 (upstream/5.4을 가져옴)
git checkout -b 5.4 upstream/5.4
# 로컬에 있는 5.4 브랜치를 Fork로 푸시
git push origin 5.4
git push origin 사용하고자 하는 버전을 입력할 때 아마 에러가 날 것이다.
해결방안은 총 2가지가 있다.
HTTPS이라면 Personal Access Token을 가져와 인증하여 Push한다.
SSH이라면 SSH키를 입력하여 Push한다.
SSH로 전환하여 Push하는 방법으로 해보겠다.
#HTTPS인지 SSH인지 확인 ex) origin https://github.com/... (HTTPS로 되어 있다면 이와 같을 것)
git remote -v
#ssh 전환
git remote set-url origin git@github.com:your_email@example.com/UnrealEngine.git
#전환이 잘 되었는 지 확인 ex) origin git@github.com:your_email@example.com
git remote -v
#이미 키가 존재하는 지 확인
#이미 키가 있다면 id_rsa와 id_rsa.pub 파일이 존재할 것이다.
#키가 없다면 (1-1), (1-2) 과정 진행
ls -al ~/.ssh
#(1-1) 키생성
ssh-keygen -t rsa -b 4096 -C "your_email@example.com"
#(1-2) 암호를 입력하라는 창이 나옴 (그냥 Enter 눌러서 비밀번호 없이 생성)
# 다시 키가 있는 지 확인
ls -al ~/.ssh
#생성된 또는 이미 존재하는 키 확인 (키를 복사한다)
cat ~/.ssh/id_rsa.pub
4. SSH 키를 복사했으니 GitHub에 등록
- 오른쪽 상단 프로필 아이콘 클릭 → Settings을 클릭
- 좌측 메뉴에서 SSH and GPG keys를 선택합니다.
- New SSH key 버튼을 클릭하고, 제목을 입력한 후 복사한 공개 키를 붙여넣는다.
- Add SSH key를 클릭하여 키를 추가합니다.
요약하면 GitHub → Settings → SSH and GPG keys → New SSH Key
5. 이제 다시
터미널 창에 git push origin 5.4를 입력하면 정상적으로 Push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세팅을 해보자
6. 클론된 파일 내에 Setup.bat 클릭 (필요한 항목들을 다운받아 주는 것 같다)
7. 같은 경로에 있는 GenerateProjectFiles.bat 클릭
- UE5.sin폴더가 생성이 될 것 해당 파일을 연다.
8. 열면 우측 솔루션 탐색기? UE5 우클릭 빌드를 진행한다!
- 빌드 시간이 오래 걸림!!!!
- 빌드가 끝나면 열고자 하는 언리얼 프로젝트 마우스 우클릭 -> Switch Unreal Engine version 눌러 빌드한 버전으로 선택 -> Generate Visual Studio project files 클릭 -> sin 파일을 열고 빌드하면 GitHub에서 받은 언리얼 버전으로 열린다!
'Unreal 개발 > 기술 향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빌드 중 error C4756 overflow (0) | 2024.12.09 |
---|---|
[Unreal] error NU1100: 'net6.0' (0) | 2024.12.09 |
[Unreal] 액터의 라이프 사이클 (0) | 2024.11.26 |
[Unreal] 블루프린트 중력 적용이 안될 때 (0) | 2024.11.25 |
[Unreal] Meta Quest Pro 핸드 트래킹 (0) | 2024.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