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영상을 보니 대략적으로 Unity Asset Manager, 디지털 트윈을 위한 3D 에셋 통합 관리 플랫폼을 소개하는 내용이였다.
디지털 트윈 개발에서 가장 큰 난관 중 하나는 산업용 3D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와 재사용이다.
이 글에서는 [Unite Seoul 2025]에서 소개된 Unity Asset Manager를 통해 3D 에셋을 어떻게 통합 관리하고 협업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 영상을 보며 정리해보았다.
1. Unity Asset Manager란?
Unity Asset Manager는 3D 에셋 관리에 최적화된 지능형 에셋 관리 플랫폼으로,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잇다고 한다
- 3D 파일이 여러 팀/시스템에 흩어져 있고 찾기 어려움
- 에셋 재사용이 어렵고, 새로운 프로젝트마다 동일 데이터를 반복 생성
- 파일 포맷 변환에 소모되는 불필요한 시간
- 협업 간 버전 충돌, 사용 권한 불명확
Asset Manager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여 중앙 집중형 에셋 관리, 팀 간 원활한 협업, 데이터 재사용 극대화를 지원할 수 있다
그럼 주요 기능들이 정확히 무엇이 있는 지 확인해보자
2. 주요 특징 및 기능 한눈에 보기
Asset Manager는 브라우저와 Unity Editor 모두에서 작동하고, 또 다양한 기능으로 산업 현장의 요구를 충족한다고 한다.
2.1웹 기반 3D 에셋 관리
- 별도의 설치 없이 웹 브라우저에서 3D 모델을 바로 미리보기 가능
- 메타데이터(이름, 설명, 태그 등)도 브라우저에서 바로 수정 가능
2.2 Unity 에디터 연동
- Unity 프로젝트 내에서 직접 Asset Manager에 접속해 에셋 검색, 임포트, 업로드 가능
- 여러 프로젝트 간 공통 에셋을 쉽게 공유할 수 있어 재사용성 가능!
2.3 다양한 포맷 지원 및 자동 변환
- FBX, GLB, USD, CAD 등 주요 3D 파일 포맷을 모두 지원
- 업로드 시 GLB로 자동 변환되어 웹상에서도 실시간 확인 가능
2.4 권한 및 접근 제어
- 사용자 혹은 팀 단위로 업로드, 수정, 열람 권한을 세분화 가능
- 실무에서 흔한 '데이터 실수 삭제/덮어쓰기' 등을 방지하는 데 유용
2.5 버전 관리 및 이력 추적
- 에셋 변경 시마다 자동으로 버전 생성
- 레이블 기능을 통해 원하는 시점으로 쉽게 복원 가능
2.6 스마트 검색 및 자동 태깅
- 파일 유형에 따라 자동으로 태그가 붙고, 키워드 기반 검색 기능 제공
-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빠르게 원하는 에셋을 찾는 데 효과적이다!
... 등등
그럼 Asset Manager의 슬로건은 무엇일까??
3. 설계 철학과 배경
"올바른 데이터를, 올바른 사람에게, 올바른 포맷으로"
Asset Manager는 다음과 같은 현장의 문제 인식에서 출발했다고 한다.
- 서로 다른 부서가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 제작하거나 찾기 어려운 상황
- 산발적으로 저장된 에셋으로 인해 프로젝트 시작 시마다 수작업 필요
- 변환 및 배포 작업에 드는 과도한 시간과 리소스 낭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Unity는 Asset Manager를 중앙 집중형 + API 기반 개방형 플랫폼으로 설계하였다.
또한 PiXYZ 등의 변환 툴과 통합하여 산업용 CAD 데이터도 실시간 3D 콘텐츠로 손쉽게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4. Asset Manager의 도입 효과
항목 | 도입 전 | 도입 후 |
에셋 탐색 시간 | 수동 검색, 반복 문의 | 태그 + 미리보기로 즉시 확인, 필터 기반 검색 |
포맷 변환 | 별도 툴 사용, 수작업 | 자동 GLB 생성 및 다양한 포맷 지원 |
협업 효율 | 에셋 위치 공유 어려움 | 브라우저 기반 실시간 확인 및 코멘트 |
버전 관리 | 파일명 변경, 충돌 위험 | 자동 이력 추적 + 레이블 관리 |
권한 제어 | 폴더 접근 제한 중심 | 사용자별 세분화된 권한 설정 |
5. 부서별 협업 사례
- CAD 엔지니어는 브라우저에서 CAD 파일 업로드
- 기술 아티스트는 Asset Manager에서 실시간 피드백 확인 후 텍스처 수정,드래그 앤 드롭 방식으로 Unity 프로젝트에 바로 배치
- 디자이너/개발자는 Unity에서 실시간 검색, 임포트하여 프로젝트 반영
- 최종 사용자는 모바일에서도 실시간 3D 확인 가능
→ 전 직군이 Asset Manager를 중심으로 협업 가능하다~!!!

7. 마무리 요약
Unity Asset Manager는 디지털 트윈 환경에서 필요한 3D 자산을 안정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단순한 에셋 저장소를 넘어, 산업용 디지털 트윈 구축을 위한 핵심 인프라로 자리를 잡아가는 것 같다
참고 : https://www.youtube.com/watch?v=WD1DN2qsntA
'Unity 개발 > 신기술 탐색'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e Seoul 2025] Unity 기반 크로스 플랫폼 - XR 기기 비교 분석 (1) | 2025.05.29 |
---|---|
[Unity 6] 4가지 그래픽스 신기능 정리 (3) | 2024.11.12 |
[Unity 6] Unity 6의 주요 특징 및 변화 (0) | 2024.10.26 |
[Unity] Unity6 소개 (0) | 2024.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