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y 13

[Unity] StaticObjects 설정

이번 포스팅은 Unity의 StaticObjects에 대해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떤 역할들을 하는 지 간단하게만 정리하면서 알아 가고자 합니다   이 이미지에서 보이는 Unity의 Static 설정들은 다양한 최적화와 렌더링 관련 역할합니다. 위에 부터 순차적으로 역할들을 정리하자면   Nothing: 이 설정은 어떠한 Static 옵션도 적용하지 않겠다는 것을 의미합니다.Everything: 모든 Static 옵션을 활성화합니다. 이는 오브젝트가 최적화의 모든 혜택을 받도록 하며,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됩니다.Contribute GI: Global Illumination(전역 조명)에 기여하도록 설정합니다. 이 옵션은 오브젝트가 라이트맵(조명 계산 결과가 저장된 텍스처)을 생성하고 사용하는데 필요한 정보..

[WebGL] Google TTS(Text-to-Speech) Unity WebGL에 적용하기

1. TTS란 무엇인가?TTS는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는 기술을 의미합니다. 즉, 컴퓨터가 입력된 텍스트를 읽어주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 2. Google TTS의 특징Google TTS는 공식적으로 Unity를 지원하고 있지 않지만 API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보다 쉽게 통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3. Google TTS를 Unity WebGL에 적용하는 방법Google TTS를 Unity WebGL 프로젝트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단계를 거쳐야 합니다!Step 1: Google Cloud Text-to-Speech API 설정해당 설정은 해당 블로그의 절차와 동일합니다! https://developer-growth-history.tistory.com/46 [WebGL] Google ..

[c#] 디자인 패턴 - MVC 패턴

MVC (Model-View-Controller) 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여 코드의 유지보수성과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둔 디자인 패턴!!주로 UI 요소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많이 사용한다. MVC 패턴의 구성요소 Model : 데이터와 관련된 부분View : 사용자한테 보여지는 부분 Controller : Model과 View 중계Service : API 통신을 담당 Model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 및 비즈니스 로직을 포함외부 API와의 통신 로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Service로 분리하여 더 명확하게 유지Model 내부에는 Controller과 View에 관련된 코드가 있으면 안된다!!! (의존하면 안된다) View시각적으로 표시사용자의 입력을 Cont..

반응형